(3호) 2021년 6월 – 빈 공간의 모험
Commons & Comment | 발행인의 한마디 공유 & Who | 흥미로운 빈 공간, DRP 공유 & How | 빈집과 빈땅 이야기 Site & Sight | 우린 터무늬 있는 집에 산다 Hot & New | <커먼즈의 도전> 북토크 COMMONS & COMMENT 발행인의 한마디 카이로의 타흐리르 광장이나 맨해튼의 공원은 순수하게 구체적인 물리성 때문에 도시적 공공 공간인 것이 …
Commons & Comment | 발행인의 한마디 공유 & Who | 흥미로운 빈 공간, DRP 공유 & How | 빈집과 빈땅 이야기 Site & Sight | 우린 터무늬 있는 집에 산다 Hot & New | <커먼즈의 도전> 북토크 COMMONS & COMMENT 발행인의 한마디 카이로의 타흐리르 광장이나 맨해튼의 공원은 순수하게 구체적인 물리성 때문에 도시적 공공 공간인 것이 …
Commons & Comment | 발행인의 한마디 공유 & Who | 경의선 공유지 시민 행동 공유 & How | 경의선 공유지 연대기 Site & Sight | 경의선 공유지 26번째 자치구 선언문 Hot & New | 책 <커먼즈의 도전> 출간 COMMONS & COMMENT 발행인의 한마디 2010년대 중반부터 5년여 동안 경의선 공덕역 1번 출구 옆, 경의선 철길이 있던 …
Commons & Comment | 발행인의 한마디 공유 & Who | 우리가 만난 것도 커뮤니티다! 공유 & How | 투기적 도시화와 헤테로토피아로서 도시 커먼즈 Site & Sight | Covid-19 시대, 사회적 약자를 위한 포용도시 Hot & New | 다큐멘터리 <학교 가는 길 a long way to school> 리뷰 아파트 단지라는 갇히고 폐쇄적인 공간 속에서 투기적 이해에 …
성북구 정릉동. 뽀송뽀송한 섬유유연제 향기가 나는 빨래방을 지나, 아기와 할머니가 눈 맞추며 ‘곤지곤지’ 하고 있는 대문을 거쳐 오래된 계량기와 녹슨 자전거가 세워진 골목길을 굽이굽이 지나오면 ‘성북청년시민회’라고 적혀있는 큰 문패가 보인다. 이 집은 성북청년시민회가 운영하고 있는 ‘터무늬 있는 집’이다. 터무니없는 집세! 열악한 주거 현실! 터무늬 있는 집은 여러 사람의 손때가 묻은, 색다른 시도로 만들어진 청년 주택이다. ‘보증금 …
비가 올 것만 같은 어스름한 평일 오후 5시의 동대문. 동대문에는 여러 표준시가 있다. 도매시장인 신발상가의 영업시간은 새벽부터 다음날 낮까지다. 그래서인지 아직 상가에는 인기척조차 없다. 복도와 계단에는 잠시 후 분주하게 돌아갈 거대한 랠리를 기다리는 선수들 같은, 짐이 한가득 쌓여있다. 가파른 계단을 따라 몇 층을 더 올라가면, 마침내 ‘낙원’에 도착한다. 그곳에서 만난 박찬국 작가는 말한다. “동대문은 …
2008년 해방촌에서는 공유에 기초한 새로운 주거 공동체가 등장하였다. 손님들이 주인이 된다는 의미의 ‘게스츠하우스(guests’ house)’를 표방하는 빈집 공동체가 시작된 것이다. 기존의 ‘게스트하우스(guesthouse)’가 주인이 손님을 맞이하는 상업적 공간이었다면, 빈집은 누구나 손님이자 주인이 될 수 있는 공간이다. 이 주인/손님들은 주거비를 함께 부담할뿐만 아니라, 살림 살이도 함께 공유하였다. 주거공간을 공유하는 공동주거와는 달리, 빈집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다는 극단적 개방성과 환대의 윤리를 …
2021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공유정책 비교 2021년의 서울. 투기적 사유화로 인한 공간적 불평등, 팬데믹으로 생태적·사회경제적 위기가 여실히 드러난 시공간이다. 다가오는 4월 7일 치러질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의 각 후보들은 ‘공유도시’에 대한 문제의식을 얼마나 가지고 있으며, 어떤 구체적 방안들을 내놓았을까. ‘공유 도시’에 대한 후보 15명의 의지와 정책적 입장을 알아보았다. 정책 비교 및 분석은 각 후보의 공약 자료집과 질의서 답변(질의서 …
서울시는 지난 2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 간 시행될 ‘공유서울’ 3기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예산 편성을 완료했다. 공유서울 3기 기본계획은 ‘시민자치에 기반한 생태적ᆞ포용적 공유도시 서울’이라는 정책 비전을 내걸고, ‘시민이 자발적으로 자원순환 및 활용에 적극 나서고, 호혜적인 교환을 통해 도시문제 해결에 기여’ 하도록 하는 제반 정책 및 제도적 지원을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3기 기본계획은 공유가 단순히 …
국가가 공급하는 공공재가 감소하거나 일개 사적 축적 수단으로 변질된다면
(…) 가능한 대응방법은 하나밖에 없다. 주민들이 스스로 뭉쳐 자신의 공유재를 공급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