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SIGHT

조세국가로서 재정국가는 유효한가: 재정커먼즈에 대한 고민 | 김상철 시시한 연구소

춘천 커먼즈 포럼 2 <커먼즈는 국가에 대항하는가 – 재정과 금융을 커먼즈로 보기> 조세국가로서 재정국가는 유효한가: 재정커먼즈에 대한 고민 김상철 (시시한 연구소) 조세국가와 커먼즈의 마주침 기본적으로 조세에 의존한 재정국가는 불안정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저의 가설입니다. 왜냐하면 조세라고 하는 것은, 특히 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있는 국가에서는 정당성을 근거로 할 수밖에 없습니다. 조세 이론은 크게 2가지가 대립을 하고 있는데 예전 …

조세국가로서 재정국가는 유효한가: 재정커먼즈에 대한 고민 | 김상철 시시한 연구소 더 보기 »

커머너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여성 예산 운동과 성인지 예산 제도화의 문제 | 김은희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소장

춘천 커먼즈 포럼 2 <커먼즈는 국가에 대항하는가 – 재정과 금융을 커먼즈로 보기> 커머너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여성 예산 운동과 성인지 예산 제도화의 문제 김은희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소장) 반갑습니다. 김은희라고 합니다. 주어진 시간 안에 짧게 해보려고 하는데 잘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전제로 깔려 있는 이야기들이 겹겹이 있어서 좀 조심스럽기도 한데요, 앞선 발표에서 김상철 선생님께서 시민은 중립적인 존재로 …

커머너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여성 예산 운동과 성인지 예산 제도화의 문제 | 김은희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소장 더 보기 »

한국에서 국가와 자본의 허구적 이분법에 대한 고민: 재정과 금융의 문제를 경유하여 | 이태영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춘천 커먼즈 포럼 2 <커먼즈는 국가에 대항하는가 – 재정과 금융을 커먼즈로 보기> 한국에서 국가와 자본의 허구적 이분법에 대한 고민: 재정과 금융의 문제를 경유하여 이태영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안녕하세요. 이태영이라고 합니다. 제주대학교 사회학과에서 공부하고 있고,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의 구성원입니다. 앞에서 김상철 선생님이나 김은희 선생님 얘기에서도 계속 등장하는 ‘국가’라고 하는 것에 대해 자세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다만 …

한국에서 국가와 자본의 허구적 이분법에 대한 고민: 재정과 금융의 문제를 경유하여 | 이태영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더 보기 »

자본을 커먼즈로 바꾸는 금융생활 | 지음 공동체은행 빈고 책임활동가

춘천 커먼즈 포럼 2 <커먼즈는 국가에 대항하는가 – 재정과 금융을 커먼즈로 보기> 자본을 커먼즈로 바꾸는 금융생활 지음 (공동체은행 빈고 책임활동가) 안녕하세요. 저는 공동체은행 빈고에서 책임활동가로 일하고 있는 김지음입니다. 저는 이 자리가 춘천 시민분들을 만나서 빈고 같은 거 어렵지 않고, 위험한 것도 아니고, 커먼즈적 활동에 도움이 되는 거다. 이런 점들을 소개하는 자리라고 생각하고 준비를 했어요. 그런데 …

자본을 커먼즈로 바꾸는 금융생활 | 지음 공동체은행 빈고 책임활동가 더 보기 »

돌봄의 공간들을 재조립하기 | 이준용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박사과정

춘천 커먼즈 포럼 1 <돌봄으로의 전환에서 돌봄을 위한 전환으로> 세션 2 – 도시커먼즈와 돌봄: 공간, 먹거리, 자원순환 돌봄의 공간들을 재조립하기 이준용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박사과정) 경계와 재조립: 돌봄을 연구하는 저의 관점 우선은 죄송하다는 말씀 먼저 드리겠습니다. 제가 학회 스타일로 너무 건조하게 준비를 했는데 이렇게 생생한 활동가분들께서 이렇게 계실 줄 알았다면… 저도 제 원래 주력 콘텐츠는 불교적 …

돌봄의 공간들을 재조립하기 | 이준용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박사과정 더 보기 »

대안먹거리 운동의 한계와 새로운 실험: 커먼즈로서 먹거리 돌봄 | 김자경/박서현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

춘천 커먼즈 포럼 1 <돌봄으로의 전환에서 돌봄을 위한 전환으로> 세션 2 – 도시커먼즈와 돌봄: 공간, 먹거리, 자원순환 대안먹거리 운동의 한계와 새로운 실험: 커먼즈로서 먹거리 돌봄 김자경/박서현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 “밥은 먹었니?”라는 말에 담긴 것들 저는 대안 먹거리 운동의 한계, 그리고 새로운 실험들을 통해 먹거리가 커먼즈가 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에 관심이 있습니다. 근데 말이죠, …

대안먹거리 운동의 한계와 새로운 실험: 커먼즈로서 먹거리 돌봄 | 김자경/박서현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 더 보기 »

재활용 처리의 비공식 체계와 커먼즈적 전회 가능성에 대하여 | 소준철 전남대학교 역사문화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

춘천 커먼즈 포럼 1 <돌봄으로의 전환에서 돌봄을 위한 전환으로> 세션 2 – 도시커먼즈와 돌봄: 공간, 먹거리, 자원순환 재활용 처리의 비공식 체계와 커먼즈적 전회 가능성에 대하여 소준철 (전남대학교 역사문화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 숫자로는 안 보이는 쓰레기와 관리 불가능한 흐름 안녕하세요. 소준철입니다. 저는 사실 커먼즈와는 그렇게 큰 관련 없는 연구들을 주로 해 왔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재활용에 관심이 좀 생겼어요. …

재활용 처리의 비공식 체계와 커먼즈적 전회 가능성에 대하여 | 소준철 전남대학교 역사문화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 더 보기 »

어떤 아픔은 병원에 닿지 않는다 | 양창모 춘천 호호방문진료센터장

춘천 커먼즈 포럼 1 <돌봄으로의 전환에서 돌봄을 위한 전환으로> 세션 1 – Commons, 모두에게 좋은 삶을 위한 이야기 어떤 아픔은 병원에 닿지 않는다 양창모 (춘천 호호방문진료센터장) 안녕하세요? 춘천호호방문진료센터에서 일하고 있는 양창모라고 합니다.  제가 오전에 방문진료를 하고 왔는데, 방문진료에서 제일 만나기 힘든 분들이 누구인지 아세요? 바로 여기 계신 여러분들이에요. 저희가 만나 뵙는 분들이 80대 어르신들이 대부분이거든요. …

어떤 아픔은 병원에 닿지 않는다 | 양창모 춘천 호호방문진료센터장 더 보기 »

돌봄을 통한 전환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생산양식으로서의 커먼즈 관점에서 보는 노동과 돌봄 | 한디디 커먼즈네트워크/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춘천 커먼즈 포럼 1 <돌봄으로의 전환에서 돌봄을 위한 전환으로> 세션 1 – Commons, 모두에게 좋은 삶을 위한 이야기 돌봄을 통한 전환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생산양식으로서의 커먼즈 관점에서 보는 노동과 돌봄 한디디 (커먼즈네트워크/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에 있는 한디디라고 합니다. 이전 발표가 너무 훌륭하고 감동적인데요. 사실 이런 자리가 될 줄 알았으면 좀 재밌는 사례들을 갖고 …

돌봄을 통한 전환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생산양식으로서의 커먼즈 관점에서 보는 노동과 돌봄 | 한디디 커먼즈네트워크/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더 보기 »

돌봄의 정치: 무엇을 돌볼 것인가? | 권범철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춘천 커먼즈 포럼 1 <돌봄으로의 전환에서 돌봄을 위한 전환으로> 세션 1 – Commons, 모두에게 좋은 삶을 위한 이야기 돌봄의 정치: 무엇을 돌볼 것인가? 권범철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안녕하세요. 서교인문사회연구실 권범철이라고 합니다. 제 발표 제목은 “돌봄의 정치”인데요,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돌봄이라고 하는 것을 사회적 변화의 관점에서 보자고 하는 제안입니다. 그 이유는 지금 돌봄 담론이 굉장히 많이 나오고 있잖아요. 특히 …

돌봄의 정치: 무엇을 돌볼 것인가? | 권범철 서교인문사회연구실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