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춘천 커먼즈 포럼 '입장과 좌표' 2[21-22호 통합본] 2025년 5월호Click Here2024 춘천 커먼즈 포럼 '입장과 좌표' 1[19-20호 통합본] 2025년 1월호Click Here위기에 대응하는 커먼즈: 주거를 바라보는 또 다른 사각지대[18호] 2024년 8월호Click Here문화유산과 도시재생[17호] 2024년 1월호Click Here Previous slide Next slide NEW ARTICLE 커먼즈 네트워크를 소개하며 | 윤여일 공동의 언어를 찾아서: 커먼즈 네트워크 7년의 여정과 성찰 | 윤여일, 정영신, 엄문희 인터뷰 “공유와 연대의 가능성을 꿈꾸는 공간이 커먼즈 네트워크” | 김지혜·최희진 연구자 겸 활동가 인터뷰 조세국가로서 재정국가는 유효한가: 재정커먼즈에 대한 고민 | 김상철 시시한 연구소 커머너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여성 예산 운동과 성인지 예산 제도화의 문제 | 김은희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소장 한국에서 국가와 자본의 허구적 이분법에 대한 고민: 재정과 금융의 문제를 경유하여 | 이태영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자본을 커먼즈로 바꾸는 금융생활 | 지음 공동체은행 빈고 책임활동가 돌봄의 공간들을 재조립하기 | 이준용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박사과정 대안먹거리 운동의 한계와 새로운 실험: 커먼즈로서 먹거리 돌봄 | 김자경/박서현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 재활용 처리의 비공식 체계와 커먼즈적 전회 가능성에 대하여 | 소준철 전남대학교 역사문화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 2024 춘천 커먼즈 포럼 ‘입장과 좌표’ | 현장 후기 어떤 아픔은 병원에 닿지 않는다 | 양창모 춘천 호호방문진료센터장 INTERVIEW 공동의 언어를 찾아서: 커먼즈 네트워크 7년의 여정과 성찰 | 윤여일, 정영신, 엄문희 인터뷰 “공유와 연대의 가능성을 꿈꾸는 공간이 커먼즈 네트워크” | 김지혜·최희진 연구자 겸 활동가 인터뷰 집을 소유하지 않은 이들의 주거권 | 민달팽이 유니온 인터뷰 돌봄의 위기 속 청소년과 함께 자라는 공간 | 가톨릭 청소년이동쉼터 서울아지트 인터뷰 건강한 자립을 위한 징검다리 | 김참솔 은평자립준비청년청 사회복지사 인터뷰 어느 귀촌 부부 이야기: 주거의 전환, 삶의 회복 | 서선교 홍성군 장곡면 주민자치회 사무국장 부여 자온길 프로젝트 | 박경아 (주)세간 대표 인터뷰 기후정의와 공공적 에너지 전환 | 구준모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기획실장 인터뷰 공급자 중심의 부동산 시장 질서를 사용자와 균형있게 가치를 나누는 법 | 커먼즈클럽 정수현 대표 10년의 실험 ‘서울혁신파크’, 어떻게 볼 것인가 | 김상철 서울재정네트워크 운영위원 서울혁신파크, 상상은 현실이 되었는가? | 엄관용 전 서울혁신센터 기반증강실장, 더가능연구소 수석연구원 마포-신촌 지역 연구공동체 소개 | 현대정치철학연구회 황재민 연구원 인터뷰 ABOUT 웹진 공유도시는 도시커먼즈의 시각에서 도시의 삶을 상상하고 만들어가는다양한 주체, 실천, 장소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주목하는 문제들 에너지 공유 체계 사회주택 모빌리티 디지털 플랫폼 지역화폐 SUBSCRIBE 당신이 모르고 지나가선 안될 이야기를 전해드릴게요. 새로운 도시커먼즈 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 웹진 공유도시는 '실험'에 초점을 맞추어 공유도시의 삶을 상상하고 실천하는 다양한 사례와 아이디어를 나누고 있습니다. 이름 이메일 계속하면 개인 정보 보호 정책에 동의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