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min

[학생기고] 베니스의 배다리 | 신영수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연구연수생

베니스의 배다리 신영수 (아시아연구소 연구연수생 18기, 서울대 동양사학과) ABOUT 민운기/스페이스 빔 겉으로는 무뚝뚝해 보이지만, 속으로는 애정이 넘치는 실천가. 소박함과 진솔함이 매력이다.    민운기 선생님과 스페이스 빔에 대한 일화를 하나 소개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하고자 한다. 베니스 비엔날레 공유회에 대한 PPT에 진행 장소가 ‘스페이스 빔’이 아니라, ‘인천 문화 양조장’이라 적혀 있었다. 민운기 선생님께 왜 스페이스 빔이라 하지 않고 …

[학생기고] 베니스의 배다리 | 신영수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연구연수생 더 보기 »

기후정의와 공공적 에너지 전환 | 구준모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기획실장 인터뷰

기후정의와 공공적 에너지 전환 9월 12일, 사회공공 분야의 ‘위장된 민영화’ 저지와 공공성 확대를 토론회가 열렸다. 교통, 토지 주택, 에너지 등 사회 공공부문에서 진행되고 있는 정부의 ‘위장된 민영화’를 저지하고, 공공성 확대를 위해 다양한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함께 모아본 시간이었다. 9월 23일, ‘위기를 넘는 우리의 힘: 9.23 기후정의행진’이 전국에서 진행되었다. 참담한 현실의 기후 재난 속 퇴행하고 있는 신자유주의 …

기후정의와 공공적 에너지 전환 | 구준모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기획실장 인터뷰 더 보기 »

[정책브리핑] 공적 사유화를 넘어서는 공공성 확대 방안 | 이승원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공적 사유화를 넘어서는 공공성 확대 방안* : ‘공공서비스 민영화 금지 및 재공영화 기본법안’에 관한 발전적 제안을 위하여 이승원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전임연구원) *이 글은 2023년 9월 12일에 열린 “기후재난과 불평등 시대, 우리 모두의 삶을 지키는 사회공공성을 말한다: 사회공공 분야의 위장된 민영화 저지와 공공성 확대를 위한 토론회” 에서 발표된 내용을 웹진의 정책 브리핑에 맞게 재구성한 글입니다. 1. …

[정책브리핑] 공적 사유화를 넘어서는 공공성 확대 방안 | 이승원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더 보기 »

기후위기 대응과 이동권 강화를 위한 민자사업 반대와 통합공영화 확대의 필요성 | 이영수 사회공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기후위기 대응과 이동권 강화를 위한 민자사업 반대와 통합공영화 확대의 필요성 이영수(사회공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윤석열 정부의 민자철도 활성화와 SR분리 등으로 교통의 시장화, 금융화, 경쟁체제 공고화 윤석열 정부는 긴축재정과 민간주도 방식의 경제성장이라는 정책기조를 가지고 있는데 교통부문에서도 민자철도 활성화와 민간자본 이윤보장 정책을 관철하고 있다. 민간투자사업 활성화 방안(2022년 6월 28일, 기획재정부 발표 보도자료)의 주요 골자를 살펴보면 1) 수익성이 있는 노선과 …

기후위기 대응과 이동권 강화를 위한 민자사업 반대와 통합공영화 확대의 필요성 | 이영수 사회공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더 보기 »

공평하게 소유(해야만)하는 땅, 공유지(公有地) | 정기황 시시한연구소 소장

공평하게 소유(해야만)하는 땅, 공유지 (公有地) 정기황 (시시한연구소 소장) 한국은 전 국민의 절반이 생존의 기반인 집(약 45%)도 생산의 기반인 땅(약 40%)도 없다. 물론 집과 땅은 꼭 소유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가치를 기반으로 한 안정적이고, 지불가능한 적절한 임대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 말이다. 하지만 한국은 ‘조물주 위 건물주’로 표현할 만큼 부동산 소유권에 절대적이고, 배타적인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

공평하게 소유(해야만)하는 땅, 공유지(公有地) | 정기황 시시한연구소 소장 더 보기 »

[R커먼즈 합정 소식란] 연구자들의 재잘재잘 2탄 – 전국연구자랑

연구자들의 재잘재잘 2탄: 전국연구자랑 9월 9일(토) R커먼즈 합정에서 ‘연구자들의 재잘재잘 2탄 – 전국연구자랑’이 진행됐습니다. 지난 3월 ‘쇼미더리서치’ 이후 진행된 두번째 재잘재잘 행사입니다. 재잘재잘에서는 신진 연구자, 학생, 예술가 등 누구나 번뜩이는 연구 아이디어가 있다면 자유롭게 소개하고, 알커머너로서 참여자들과 솔직한 비판과 토론을 나눕니다. 알커먼즈 합정은 커머너들과 평등한 위치에서 생각을 함께 모으고, 나누고, 공유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이번 …

[R커먼즈 합정 소식란] 연구자들의 재잘재잘 2탄 – 전국연구자랑 더 보기 »

공급자 중심의 부동산 시장 질서를 사용자와 균형있게 가치를 나누는 법 | 커먼즈클럽 정수현 대표

공급자 중심의 부동산 시장 질서를 사용자와 균형있게 가치를 나누는 법 앤스페이스 팀은 공간공유 플랫폼 ‘스페이스클라우드’의 경험을 바탕으로 공급자 중심으로 형성된 도시공간과 부동산 시장에서 사용자의 권리를 되찾는 대안적 질서를 만들어가는데 앞장서고 있다. 특히 2021년 부터는 ‘커먼즈클럽’을 조직하여 현장과 비즈니스 영역에서 커먼즈를 구현하는 데 실질적인 경험치를 쌓아가고 있는 이들과 함께 다양한 실험과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도시커먼즈의 경험을 확산하고 …

공급자 중심의 부동산 시장 질서를 사용자와 균형있게 가치를 나누는 법 | 커먼즈클럽 정수현 대표 더 보기 »

문화공원의 충분조건에 관한 물음 | 인공서핑장 ‘웨이브파크’는 잘 만들어진 문화공원인가?

문화공원의 충분조건에 관한 물음– 인공서핑장 ‘웨이브파크’는 잘 만들어진 문화공원인가? 이지현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전문위원) 도시공원의 복합적 기능과 민간부문의 사업 참여 공원은 유원지나 관광지와는 구별되는 공공시설이다.1) 공원녹지법에 따르면, 도시공원의 기능은 ‘도시자연경관 보호, 시민의 건강조·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있다. 법률에서 명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도시공원은 오락과 관광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놀이공원인 서울랜드(1988년도 개장)는 근린공원인 서울대공원 안에 있고, 통영의 루지와 …

문화공원의 충분조건에 관한 물음 | 인공서핑장 ‘웨이브파크’는 잘 만들어진 문화공원인가?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