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정의와 공공적 에너지 전환 | 구준모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기획실장 인터뷰
기후정의와 공공적 에너지 전환 9월 12일, 사회공공 분야의 ‘위장된 민영화’ 저지와 공공성 확대를 토론회가 열렸다. 교통, 토지 주택, 에너지 등 사회 공공부문에서 진행되고 있는 정부의
기후정의와 공공적 에너지 전환 9월 12일, 사회공공 분야의 ‘위장된 민영화’ 저지와 공공성 확대를 토론회가 열렸다. 교통, 토지 주택, 에너지 등 사회 공공부문에서 진행되고 있는 정부의
공급자 중심의 부동산 시장 질서를 사용자와 균형있게 가치를 나누는 법 앤스페이스 팀은 공간공유 플랫폼 ‘스페이스클라우드’의 경험을 바탕으로 공급자 중심으로 형성된 도시공간과 부동산 시장에서 사용자의 권리를
10년의 실험 ‘서울혁신파크’, 어떻게 볼 것인가 김상철 (서울재정네트워크 운영위원) 그간 서울시의 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사람에게도 ‘서울혁신파크는 무엇이었나’라는 질문은 답하기 어렵다. 분명히 기존 건물을 사용하는
서울혁신파크, 상상은 현실이 되었는가? 엄관용 (전 서울혁신센터 기반증강실장, 더가능연구소 수석연구원) 1. 서울혁신파크, 상상의 시작 상상이 현실이 되는 수천 가지 이야기 2023년 12월 31일 자로 물리적
‘연구자라면 어떤 주제와 입장의 일관성 같은 것도 매우 중요하잖아요. 왜냐면 일관된다고 하는 것은 신뢰감을 주는 거죠. 그 연구자가 어떤 주제에 대해서 오랫동안 고민해 왔고 그만큼
“공공이란 것도 개인적인 것과 완전하게 분리하여 이해하기 힘들다. 모든 것의 결과에는 원인이 있듯이 우리가 해결해야 문제들의 원인을 제대로 읽어봐야 할 것 같다. 그리고 모두의 공공이
‘공부는 이어달리기라는 말을 제가 되게 인상 깊게 들은 적이 있는데, 그러니까 혼자 무언가 시작해서 다 끝낼 수 있는 게 아니라 누가 이미 해놓았던 거로부터 뭔가
“R커먼즈는 ‘만남의 광장’ 같은 게 됐으면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우리가 고속도로 타기 직전에 만남의 광장들이 있듯이, 그 어떠한 지점에 들어서기 전에 다양한 연구자들, 사람들이 만나서 좀
“경쟁과 성과주의에 찌든 연구 환경을 공공적 가치로 바꿔야 합니다” 지식 공유란 무엇인가? 왜 지식을 공유해야 할까? 우리가 일상에서 늘 지식을 공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식 공유’가
Q. 정민철 선생님께서 대표로 활동하고 계시는 홍성 젊은협업농장은 2011년 홍성군 장곡면에서 시작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먼저 홍성 젋은협업농장 http://collabo-farm.com/이 만들어진 이유 또는 계기, 그리고 젋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