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SIGHT

DMZ, 비어 있음과 채워짐에 관하여 | 윤여일 경상국립대학교 사회학과

춘천 커먼즈 포럼 3 <국가를 커머닝하기> DMZ, 비어 있음과 채워짐에 관하여 윤여일 (경상국립대학교 사회학과) 첫날부터 계셨다면 사흘 밤낮을 보내고 지금 이 자리에 계신 거네요. 안녕하세요. 저는 22번째 입장 윤여일입니다. 저는 DMZ를 잘 알지 못합니다. 다만 DMZ에 예외적 가치가 있다는 건 알고 있고, DMZ를 지키고 싶은 마음도 있습니다. DMZ의 지금 생태계가 소중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커먼즈 …

DMZ, 비어 있음과 채워짐에 관하여 | 윤여일 경상국립대학교 사회학과 더 보기 »

열린 시대, 닫힌 땅 – 캠프 페이지 | 박정환 춘천사회혁신센터 센터장

춘천 커먼즈 포럼 3 <국가를 커머닝하기> 열린 시대, 닫힌 땅 – 캠프 페이지 박정환 (춘천사회혁신센터 센터장) 오늘 8개의 공통 좌표 중의 하나가 ‘평화’였어요. 저는 커먼즈의 주요한 좌표로서 평화와 관련해서 춘천의 미군기지 터인 캠프페이지를 사례로써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분단과 함께 도시의 한복판에 들어선 미군기지가 시민들에게 예외적 공간으로 인식되었던 개인적 사례들을 열거해 보려고 합니다. 2000년대 들어오면서는 미군 …

열린 시대, 닫힌 땅 – 캠프 페이지 | 박정환 춘천사회혁신센터 센터장 더 보기 »

숨은 광장: 기억하고자 하는 이들의 거품, 소음, 웅성거림 | 김현주 A.C. 클리나멘, ㅃㅃ보관소

춘천 커먼즈 포럼 3 <국가를 커머닝하기> 숨은 광장: 기억하고자 하는 이들의 거품, 소음, 웅성거림 김현주 (A.C. 클리나멘, ㅃㅃ보관소) 안녕하세요. 미술 작업을 하고 있는 김현주라고 합니다. 앞서 소개해 주신 대로 저는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한 빼뻘마을(뺏벌로도 표기)에서 ㅃㅃ(빼뻘)보관소, 예술 공간 송산반점이라는 두 개의 커뮤니티 예술 공간을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2019년도부터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매해 주민들과 함께 다양한 예술작업들을 …

숨은 광장: 기억하고자 하는 이들의 거품, 소음, 웅성거림 | 김현주 A.C. 클리나멘, ㅃㅃ보관소 더 보기 »

최전방의 신체들 – 폭력 이후의 인간 | 엄문희 아름다운 붉은 선

춘천 커먼즈 포럼 3 <국가를 커머닝하기> 최전방의 신체들 – 폭력 이후의 인간 엄문희 (아름다운 붉은 선) 안녕하세요. 제주 강정마을에서 왔습니다. 엄문희라고 합니다. “최전방의 신체들” 이라고 제목을 붙여보았습니다. 저는 ‘폭력 이후의 인간, 구체적으로 그들이 실천하고 있는 피해와 복구에 관한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 지금 표지에 나와 있는 이 사람은 강정마을에 있는 제 친구입니다. 강정마을에서 태어나서 지금까지 살고 …

최전방의 신체들 – 폭력 이후의 인간 | 엄문희 아름다운 붉은 선 더 보기 »

권위주의에 대한 저항을 통해, 변화하는 커먼즈로서 미인도 투쟁의 의미 | 이채원 공유성북원탁회의 사무국장, 협동조합고개엔마을 사무국장

춘천 커먼즈 포럼 3 <국가를 커머닝하기> 권위주의에 대한 저항을 통해, 변화하는 커먼즈로서 미인도 투쟁의 의미 이채원 (공유성북원탁회의 사무국장, 협동조합고개엔마을 사무국장) 안녕하세요. 권위주의에 대한 저항을 통해 변화하는 커먼즈로서 미인도 투쟁의 의미를 말씀드리려고 하는데요. 국가를 커머닝하기라는 제목이 조금 어려웠어요. 저한테 너무 거대한 슬로건처럼 느껴져서 오늘 서울 성북구의 작은 공간인 미인도의 얘기를 어떻게 풀어내면 좋을지가 많이 고민이 됐는데, 그냥 …

권위주의에 대한 저항을 통해, 변화하는 커먼즈로서 미인도 투쟁의 의미 | 이채원 공유성북원탁회의 사무국장, 협동조합고개엔마을 사무국장 더 보기 »

춘천 커먼즈 포럼 3 | 토론 및 질의응답

춘천 커먼즈 포럼 3 <국가를 커머닝하기> 발표자 | 윤여일(경상국립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박정환(춘천사회혁신센터 센터장), 김현주(A.C. 클리나멘, ㅃㅃ 보관소),엄문희(아름다운 붉은 선), 이채원(공유성북 원탁회의 사무국장, 협동조합 고개앤마을 사무국장) 지정토론 | 박배균(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사회자 | 정기황(문화도시연구소 소장) 지정토론 박배균입니다. 토론을 맡았습니다. 그런데 제가 토론을 준비하면서도 느꼈지만, 아까 발표를 들으면서 이 세션의 토론을 맡은 것을 엄청 후회를 했습니다. 언젠지 …

춘천 커먼즈 포럼 3 | 토론 및 질의응답 더 보기 »

[정책브리핑] 지방소멸,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 백일순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지방소멸,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백일순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전임연구원) *이 글은 ‘최민정, 백일순. (2023). 영토적 덫에 걸린 지방소멸: 행정구역 중심의 인구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토지리학회지, 57(2), 141-163’의 일부 내용을 웹진의 정책 브리핑에 맞게 재구성한 글입니다. 인구 감소에 대해서 한번쯤 생각해본 사람이라면, 위에 제시된 지도가 매우 낯익을 것이다.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이 경과된 …

[정책브리핑] 지방소멸,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 백일순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더 보기 »

[정책브리핑] 공적 사유화를 넘어서는 공공성 확대 방안 | 이승원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공적 사유화를 넘어서는 공공성 확대 방안* : ‘공공서비스 민영화 금지 및 재공영화 기본법안’에 관한 발전적 제안을 위하여 이승원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전임연구원) *이 글은 2023년 9월 12일에 열린 “기후재난과 불평등 시대, 우리 모두의 삶을 지키는 사회공공성을 말한다: 사회공공 분야의 위장된 민영화 저지와 공공성 확대를 위한 토론회” 에서 발표된 내용을 웹진의 정책 브리핑에 맞게 재구성한 글입니다. 1. …

[정책브리핑] 공적 사유화를 넘어서는 공공성 확대 방안 | 이승원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더 보기 »

학군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노원구 중계동 은행사거리를 사례로

<학군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노원구 중계동 은행사거리를 사례로 백일순(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아시아도시사회센터), 김주락(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 본 연구는 지난 2023년 4월 21일 개최된 <한국공간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참여 발표를 위하여 ‘도시 구성체로서의 학군: 서울 노원구 중계동 은행사거리를 사례로(백일순, 김주락, 이승원, 공간과 사회 2023년 6월 86호, 132-183) 논문의 초고용 발표문입니다. 본 논문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도시 구성체(urban formation)’에 대한 …

학군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노원구 중계동 은행사거리를 사례로 더 보기 »

[정책브리핑] 사적 소유권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커먼즈의 정치’ I 이승원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사적 소유권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커먼즈의 정치’ 이승원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전임연구원) 1. 불평등과 사적 소유권 – 정치의 숙명적 과제 이 글은 ‘커먼즈’의 시각에서 현대 자본주의, 특히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사적 소유권’에 대한 비판적이고 대안적인 성찰과 이에 기반한 운동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보수 양당 구도의 중도합의에 기반한 ‘탈정치’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을 찾는데 기여할 것을 …

[정책브리핑] 사적 소유권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커먼즈의 정치’ I 이승원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더 보기 »